제주살이 #51: 올레1-1코스 '세계 등대'
·
·
미국, 킹스톤(Kingston Lighthouse)
뉴욕의 허드슨강. 킹스톤 항구 입구에 위치한 등대로서
강 기슭에 항구의 입구를 표시하고 서 있다.
1880년대에 이곳에 지어졌던 초기의 등대는,
부두에 의해 입항로의 통로가 해안선으로부터 멀어진 이후 다시 지어져야 했다.
현재의 이 건물은 1915년 지어진 이래로 아직까지 남아있으며,
이 등대는 1954년에 연안경비대에 의해 자동화 된 이후 최근에는 원래의
fifth-drder fresnel 렌즈를 대신하여 최신식 플라스틱 장치로 갈아 끼웠다.
킹스톤 시는 이 등대를 박물관으로 지정하여
등대 및 등대원의 삶에 대한 역사적인 전시품 공개, 진열하여 운영하고 있다.

일본, 타테이시사키(Tateisisaki Lighthouse)
타테이시사키 등대는 쓰루가 만 입구에 위치한 등대로
일본에서는 최초의 양식등대로 그 명성이 높다.
또한, 일본인의 기술에 의해 건설된 귀충한 석조등대로
그 역사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어,
실물 그대로 보존, 유지하고 있는 등대이다.

프랑스, 코르두앙(Cordouan Lighthouse)
코르두앙 등대는 8.5m 높이의 벽으로 둘러싸인
지름 41m의 거대한 원형 베이스 위에 지어진 석조등대로
1355년에 건립된 코르두앙 섬 최초 등대의 옛터에 세워졌다.
등대원을 위한 편의시설은 지하층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,
등대의 주 출입구 또한 지하로 통해 연결되어 있다.

독일, 브레머헤븐(Bremerhaven Lighthouse)
브레머헤븐 시의 주변에는 각기 다르고 다양한 12개의 등대가 있다.
그 중 가장 크고 가장 오래된 등대가 신고딕 스타일의 브레머헤븐 등대이다.
이 등대가 지니고 있는 웅장함과 아름다움은
국가의 역사적인 건물 중 하나로 지정되기에 충분했고 지금도 그 명성을 떨치고 있다.

러시아, 마야크 크라스늬 빠르티잔(Mark Kpachbin Haptheah Lighthouse)
타타르해협 동쪽 끝에 위치한 크라스늬 빠르티잔 등대는
1853년 이전에 세워졌고 처음에 쓰이던 이름은
니콜라이황제의 이름을 딴 니콜라이 등대였다.
그 후 1896년 4월부터 1897년 7월까지 블라디보스토크의 노동자들을 동원하여
크라스늬 빠르티잔등대로 증축하였다.

영국, 롱스톤 등대(Longstone Lighthouse)
1826년에 건립된 롱스톤등대는
그 당시 등대지기 윌리엄 달링의 딸인
그레이스 달링의 영웅적 자질에 대한 전설적인 실화로 유명해 진 곳이다.
1838년 FORFARSHIRE(증기선박의 이름)호가
등대에서 약 1마일 떨어진 암초 부근에서 좌초 하였을 때,
극심한 폭풍우 속에서도 위험을 무릅쓰고 9명의 승원을 구해낸 이야기이다.
이 후로 롱스톤등대는 달링 부녀와 함꼐 명성을 얻게 되었고
비로소 1952년 전자동화되어 지금까지 그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.

중국, 마호타파고다(Mahota Pagoda Lighthouse)
서기 874년부터 쓰여진 중국의 마호타 파고다는
마오강 중앙에 설치되어 등대의 역할을 대신 해 주는 항로표지였다.
마오강을 넘나드는 선박의 항해를 도와준 이 파고다는
송나라때까지(AD 1279) 등대의 역할을 해 주었고,
1962년 중국의 국보로 지정되었다.

이집트, 알렉산드리아 등대(Alexandria Lighthouse)
프톨레마이오스 1세때 건설이 시작되어 12년 후 프톨레마이오스 2세때 완공된 등대로
높이는 127~135m이고 대부분 석회암으로 되어 있었으며 3단으로 이루어졌는데
맨 밑단은 4각모양, 가운뎃단은 8각모양, 맨 윗단은 원통모양이었다.
맨 윗단에 거울을 장치하여 반사경에 비친 햇빛과 불빛이 47km 밖에서도 보였다고 하며,
당시의 기술로 어떻게 이 거대한 규모의 건축물을 세웠는지,
어떤 방법으로 불을 지펴 비추었는지 현재까지도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아
세계 7대 불가사의 가운데 하나로 꼽히고 있다.

덴마크, 안홀트 등대(Anholt Lighthouse)
1506년 영국과 홀랜드의 강압에 못 이겨 프레드릭 2세가
덴마크에 3개의 등대를 최초로 건립하기로 하였으며
그 중 하나가 지금의 얀홀트 등대이다.
높이 42미터의 원통형인 이 등대는 붉은 등탑이 인상적이며
각각 1788년, 1881년, 두번의 증축을 통해 비로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.
이 후 1996년 여덟 개의 프레즈넬렌즈와 태양전지 등을 설치해 현재까지 운영중에 있다.

·
·
제주살이 #28-1: 올레1-1코스, 하우목동항에서 천진항까지 우도·牛島·Udo 첫번째이야기(하우목동항·산물통·하고수동해수욕장)
https://tkd-learning.tistory.com/876
제주살이 #28-1: 올레1-1코스, 하우목동항에서 천진항까지 우도·牛島·Udo 첫번째이야기(하우목동
제주살이 #28-1: 올레1-1코스, 하우목동항에서 천진항까지 우도·牛島·Udo 첫번째이야기(하우목동항·산물통·하고수동해수욕장) · · 1. 8시 13분에 101번 급행버스를 타고 성산 환승정류장(고성
tkd-learning.tistory.com
제주살이 #28-2: 올레길 1-1코스, 우도(牛島·Udo) 천진항에서 하우목동항까지 두번째이야기(우도봉·천진항·홍조단괴해빈)
https://tkd-learning.tistory.com/877
제주살이 #28-2: 올레길 1-1코스, 우도(牛島·Udo) 천진항에서 하우목동항까지 두번째이야기(우도봉
제주살이 #28-2: 올레길 1-1코스, 우도(牛島·Udo) 천진항에서 하우목동항까지 두번째이야기(우도봉·천진항·홍조단괴해빈) · · 2. 글을 읽으며 걷다 보니 푸른빛 마음을 간직한 에메랄
tkd-learning.tistory.com
'제주를 더 제주답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주살이 #53: 올레길 19코스에서 만난 걷는 독서 박노해 (22) | 2022.06.11 |
---|---|
제주살이 #52: 올레길 16코스에서 만난 시(詩, Poem) (17) | 2022.06.10 |
제주살이 #50: 올레1-1코스 '국내 등대(燈臺, lighthouse)' (14) | 2022.06.06 |
제주살이 #49: 제주 바다 끼고 동네 한 바퀴 (14) | 2022.06.05 |
제주살이 #48: 서귀포 하귤꽃, 송엽국, 샤스타데이지, 괭이밥 (14) | 2022.06.04 |